궁금한 테마 / / 2023. 5. 18. 21:00

꿀벌 실종, 사라지는 이유.

반응형

올들어 160억 마리의 꿀벌이 실종됐다고한다. 

꿀벌 실종, 사라지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려고한다. 

꿀벌 실종, 사라지는 이유
꿀벌 실종, 사라지는 이유

 

 

 

 꿀벌의 실종으로 과수업계 비상.  

국내에서 꿀벌이 예상을 뛰어넘는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고합니다. 올해만 160억마리가 실종돼,

전체 양볼 꿀벌의 약60%가 피해를 입었다. 

 

 

 

 

 

 

꿀벌 실종은 농산물 생산과 직결된다고 합니다. 

일부 과일은 올해 수확량이 전년보다 20~30%감소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농작물 중 17.8%는 

꿀벌 화분매개가 없으면 생산량이 크게 떨어

지게 됩니다. 

꿀벌의 실종꿀벌의 실종꿀벌의 실종
꿀벌의 실종

꿀벌 실종은 농가 피해로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꿀벌 한 통을 보름간 빌려 수분하는 비용은

10만원으로 지난해비해 30%가 오른금액입니다.

 

수분이 안 된 상태로 사과가 열리면 씨방이 없어

끝까지 자라지 못하고 떨어지는게 많아집니다. 

딸기도 수분 없이 열매가 달리면 원래 모양이 아닌

찌그러진 형태로 자라게 됩니다. 

 

 

꿀벌이 사라지는 이유. 

가장 큰 문제는 지구 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

입니다. 11월, 12월 꿀을 채취하러 나갔다 

일교차로 인하여 얼어죽고, 

 

봄에 기온이 일찍 오르면서 활동을 시작하였다

꽃샘추위로 인해 체력을 소진하여 벌들이 

집단 폐사를 하게 된다고 합니다. 

 

또다른 하나는, 꿀벌의 해충인 꿀벌응애로 

(꿀벌에 기생하여 체액을 빨아먹는 진드기)

인해 꿀벌이 집단폐사를 당하기도 합니다. 

 

그외 꿀벌을 잡아먹는 말벌 등 해충의 증가, 

줄어든 밀월수 꽃(아카시아), 농약, 바이러스,

강수량 등으로 원인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신종 기생충

이나 이상고온 현상으로 꿀벌들이 활동을하러

나갔다가 갑자기 들이닥친 추위로 돌아오지

못한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꿀벌의 폐사
꿀벌의 폐사

 

꿀벌이 사라지는 것에 대한 대책

*내성이 생긴 응애 방제 작업에 집중하는 대책을

 세워야 합니다. 

 

*피해 농가가 다시 양봉을 할수 있도록 벌통을 공급

 하고, 입식비, 사료비 등을 지원해야 합니다. 

 

*꿀벌 자체의 면역력, 이상 기후 현상에 대한 원인을 밝혀야 하며, 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면역력이 강한 품종을 개량해 보급해야 합니다. 

 

*예측할수 없는 날씨에 맞춰 지역에따라, 계절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 관리할수 있는 적응기술 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